본문 바로가기

한국어_Etc

신과함께-죄와 벌

신과함께-죄와 (Along With the Gods: The Two Worlds, 2017)

 

reference:

https://movie.naver.com/movie/bi/mi/basic.nhn?code=85579

https://youtu.be/KOe5FW5SaNo 

 

 

Image source: https://heewann.artstation.com/projects/Wn6oE

 

사람이 죽어 망자가 되면 저승에서 사십구 (49)일에 걸쳐 일곱(7) 번의 재판을 받게 된다.

저승의 일곱시왕은 거짓, 나태, 불의, 배신, 폭력, 살인, 천륜을 심판하며

모든 재판을 통과한 망자만이 다음 생으로 환생한다.”

-불설수생경

 

망자

 

[亡者]the deceased, the dead

저승

afterlife, the next world, otherworld

거짓

False (거짓말) lie, (formal) untruth, falsehood; (허위) fabrication, deceit, false, fake

나태

(formal) indolence, (literary) sloth, lazy, idle, (formal) indolent, (literary) slothful

불의

injustice

배신

betrayal, treachery, betray

폭력

violence

살인

murder

천륜

천륜[天倫]

1.      moral laws of family relationships; (자식된 도리) (formal) filial piety

환생

환생[還生]

reincarnation, rebirth, be reincarnated, be born again, be reborn

저승사자

Messenger, envoy, emissary of the otherworld.

염라대왕

 (閻羅大王) [발음: 염나대왕] 

the king of the underworld

[명사] <불교> 저승에서, 지옥에 떨어지는 사람이 지은 생전의 선악을 심판하는 . 지옥에 살며 십팔 장관(十八將官) 팔만 옥졸을 거느리고 저승을 다스린다

49

불교에서는 사람이 죽은 다음 7일마다 불경을 외면서 () 올려 죽은 이가 동안에 불법을 깨닫고 다음 세상에서 좋은 곳에 사람으로 태어나기를 빈다. 기간에 죽은 이가 생전의 () 따라 다음 세상에서의 인연, () 결정된다고 믿기 때문이다.

 

원래 불교의 '무아설(無我說) (selfless theory) ' 따르면 개인의 생전의 행위 자체에 대한 업보(業報) (karma) 사람 개인에 한정되며, 어떤 방법으로도 자녀 또는 후손 누구에게도 전가될 수가 없으며 전가시킬 수도 없다고 말한다.

그러나 유교사상 (Confucianism) 49 동안에 죽은 이의 영혼을 위하여 후손들이 정성을 다하여 제사 (祭祀)

ancestral rites, memorial service for ancestors, commemorative rites for ancestor) 올리면, 죽은 부모나 조상이 좋은 곳에 인간으로 다시 태어나게 되고, 조상의 혼령(soul, spirit) 후손들에게 (good luck, good fortune) 주게 된다는 것이다.

 

불교에서도 육도(六道) 사상적 해석에 따르면, 모든 중생은 육도, 천상(heaven天上인간(human人間축생(beast畜生아수라[MOU1] (the Asuras阿修羅아귀[MOU2] (餓鬼지옥도(hell地獄道) 여섯 세계를 윤회[MOU3] 하고 있으므로 죽은 가족이 이른바 삼악도(三惡道; 지옥도·아귀도·축생도) 들어가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비는 기도 행위가 49재라는 것이다.

차사

(差使)

an official sent to arrest a criminal, a messenger

귀인

 (貴人)

(신분·인품 등이 높은 사람) nobleman

 

 

Important lines:

염라대왕: “세상의 많은 사람들이 있고 잘못을 저지른다. 그리고 일부만이 용기를 내어 진심어린 사과를 하며, 정말 소수가 진심으로 용서를 한다.”

There are so many people in the world and they all make mistakes. And only a few of them have the courage to offer sincere apologies, and a very few of them truly forgives.

강림: “김자홍은 낮에는 불을 꺼야했고, 밤에는 불을 피워야했다.”

염라대왕: “저승법 1 1! 이승에서 진심어린 용서를 받은 자는 저승에서 다시 심판할 자격이 없다.”

자홍: “지나간 슬픔에 새로운 눈물을 낭비[MOU4] 하지 마세요.”

태산대왕: “침묵이 최선의 방어라고 생각하시는 피고의 쓸모 없는 혀를 먼저 뽑아드릴게요.” I will take out the defendant's useless tongue, who thinks silence is the best defense.

해원맥: “아니야 아니야 당황하지마. 아저씨 오늘 처음 죽어봐서 그래

수홍: “ 나쁜 놈들 심판하러 하늘나라 . 그러니까 이제 부대 [MOU5] 찾아오고 그러면 . 알았지?”

송제대왕: “아름다운 배신[MOU6]  없니?”

염라대왕: “ 망자[MOU7]  이미 죽었는데 죽고싶은 표정인게냐?”

 

 


  •  [MOU1]아수라 (阿修羅) [아수라]  [명사] <불교> 팔부중의 하나. 싸우기를 좋아하는 귀신으로, 항상 제석천과 싸움을 벌인다.
  •  [MOU2]餓鬼 (아귀계율(戒律) 어겨 아귀도(餓鬼道) 떨어진 귀신(鬼神). 몸이 앙상하게 마르고 목구멍이 바늘구멍 같아서 음식(飮食) 먹을 없어 굶주린다고
  •  [MOU3]윤회 () (불교) samsara, the eternal cycle of birth, death, and rebirth
  •  [MOU4]낭비 (浪費) waste, (formal) dissipation, waste, squander
  •  [MOU5]부대2 (部隊) 1. (군대) (military) unit, troops, corps 2. 행동을 함께 하는 무리
  • [MOU6]배신 (背信) betrayal, treachery, betray
  •  [MOU7]망자: (亡者)  the deceased, the dead [명사] [같은 말] 망인1(亡人)(생명이 끊어진 사람). [유의어] 망인, 사자

'한국어_Etc' 카테고리의 다른 글

Grammar~면서:  (0) 2019.07.21
관상 (The Face Reader, 2013)  (0) 2019.07.17
명당 (FENGSHUI, 2017)  (0) 2019.07.16
movies_최종병기, 활  (0) 2019.07.15
해적, 바다로 간 산적  (0) 2019.07.02